
전북 익산시 ‘익산반다비체육센터’의 장애인 편의가 일부 미흡한 것으로 점검됐다.
익산반다비체육센터는 지하1층-지상3층 규모로 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수중운동실, 농구장 크기의 다목적체육관, 헬스기구가 비치된 체력단련실, 다양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소체육관, 증강현실을 활용한 VR체험관 등을 갖췄다. 또한 3층은 펜싱아카데미로 전국 최대 규모로 펜싱피스트 15개와 샤워장 등이 설치돼 전국대회 유치와 전지 훈련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2020년 1월 7일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부터 사업계획서나 설계도면 등을 참고해 주어지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예비인증 우수등급을 받았으며, 본인증을 신청해 심사 중이다. 본인증은 공사 준공 혹은 사용 승인후 평가를 통해 최우수, 우수, 일반등급으로 나눠 부여된다.
13일 직접 방문해 장애인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을지, 익산시 담당직원의 안내로 장애인 편의시설을 점검한 결과 1층 두 곳의 주출입문은 자동문과 여닫이문이 설치됐으며, 여닫이문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됐다.
주출입문 옆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건물 내부를 알 수 있는 점자안내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점자안내판에는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기와 인적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직원호출벨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1층 안내데스크는 높이를 낮추고, 밑에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이 마련돼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기 편리하다.
1층 수중운동실은 대형 하나뿐으로 작은 수중운동실의 추가 설치가 필요해 보인다. 이는 발달장애인 등이 수중운동을 하다가 용변 실수를 하면 물을 빼내고 청소하고, 다시 물을 채워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면 수중운동실에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이 물속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입수를 할 수 있는 경사로가 양호하게 설치됐다.
남녀 탈의실과 가족 탈의실의 옷장은 밑에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이 마련됐다. 샤워실은 샤워기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설치됐고, 벽면에 옮겨 앉을 수 있는 의자도 마련됐다.
하지만 4곳의 가족탈의실의 출입문은 여닫이로 손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불편이 따를 것으로 보였다. 무엇보다 가족 탈의실과 샤워실에 화장실이 설치돼 있지 않아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경우 용변이 급하면 옷을 입고 휠체어를 타고 외부 장애인화장실을 이용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은 지상 1층과 2층에 별도로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을수 있다. 출입문도 터치식자동문으로 손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기 편리하다.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가 설치됐지만 등받이는 딱딱한 플라스틱 제품이다. 비상호출벨과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위치해 있다. 세면대 양쪽 손잡이는 휠체어 접근을 용이 하게 하는 상하가동식인데, 세면대 밑에 배관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 접근을 방해한다.
각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