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예술 특화도서관인 월피예술도서관이 지난 24일 개관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월피예술도서관은 총 99억 8800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연면적 3205㎡에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건립됐다. 은빛서재. 어린이자료실, 예술라운지, 다목적실, 예술자료실, 종합자료실, 디지털코너, 동아리실, 휴게실 등을 갖췄다.
또한 2020년 6월 17일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으로부터 사업계획서나 설계도면 등을 참고해 주어지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예비인증 우수등급을 받았으며, 본인증을 신청해 심사 중 이다. 본인증은 공사 준공 혹은 사용 승인 후 평가를 통해 최우수, 우수, 일반등급으로 나눠 부여된다.
25일 직접 방문해 장애인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을지, 직원의 안내로 장애인 편의시설을 점검했다.
점검결과 지상 1층 주출입문은 터치식자동문 2곳이 설치됐으며, 한곳의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나 시각장애인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주출입문 옆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건물 내부를 알 수 있는 점자안내판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1층 안내석은 한쪽의 턱을 낮추고, 밑에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이 마련돼 있어 문제가 없다.
건물 내부 계단 양쪽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층수를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이 설치돼 있지 않은 상태였으며, 계단 입구 바닥에는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1층 다목적실 단상에는 경사로가 완만한 경사도로 설치돼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접근하기 편리하다.
3층 강의실 책상과 2층 디지털코너 컴퓨터 책상은 높낮이가 조절되지 않아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기 불편하다. 반면 1층 은빛서재에는 저시력 장애인을 위한 확대경이 비치 됐으며, 옆에 높낮이 조절이 되는 책상이 마련돼 있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은 1-3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옆에 각각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출입문도 손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기 편한 터치식자동문이다.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통적으로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가 설치됐다. 비상호출벨은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위치해 있는 반면 휴지걸이는 손이 닿기에는 위치가 조금 높았다. 세면대 양쪽 손잡이는 휠체어 접근을 용이 하게 하는 상하가동식인 반면,세면대 밑에 배관 구조물이 휠체어 접근을 방해한다.
각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앞바닥에 점자블록만 있었다.
월피예술도서관 담당자는 “건물 내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표지판을 설치하고, 강의실 책상과 컴퓨터 책상을 높낮이가 조절되는 책상으로 교체하는 등 장애인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