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보령시 남대천어울림센터‧보령시평생학습관의 장애인 편의가 일부 미흡,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불편을 겪을 것으로 점검됐다.
남대천어울림센터‧보령시평생학습관은 지상 3층 건물로 ▲1층: 미디어스튜디어, 남대천마을센터 사무실, 상담실▲2층: 강의실, 문해교사실, 동아리실 ▲3층: 세미나실, 휴게실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지난 1월 19일 한국환경건축연구원으로부터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본인증 우수등급을 받았다,
7일 방문해 장애인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을지, 장애인 편의시설을 점검한 결과 1층 주출입구 출입문은 여닫이 출입문으로 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어 시각장애인이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였다. 터치식자동문이나 자동문 2곳을 설치하고, 한곳의 앞바닥에 점자블록을 설치하면 모두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주출입문 옆에 설치된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건물 내부를 알 수 있는 점자안내판에는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기가 설치된 반면, 인적서비스를 요청할 수 잇는 직원호출벨이 없다.
건물 내부 계단 양쪽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층수를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이 부착된 손잡이, 계단 입구 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2층과 3층 강의실 책상은 높낮이가 조절되지 않는 제품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였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은 각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 출입문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손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기 편한 터치식자동문인 반면 남녀장애인화장실은 손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미닫이다.
특히 1층 남녀장애인화장실 입구의 경우 여닫이 방화문이 설치돼 있어 손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출입하는데 더 큰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였다.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간이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는 설치됐다. 비상호출벨과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위치해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 세면대는 양쪽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또한 세면대 밑에 배관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불편이 따른다.
각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다.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