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애인재활협회가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개최한 ‘연말 청년포럼’ 참여자들의 기념촬영 모습. ©한국장애인재활협회한국장애인재활협회가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개최한 ‘연말 청년포럼’ 참여자들의 기념촬영 모습. ©한국장애인재활협회

한국장애인재활협회(회장 김인규)는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장애인권동아리·위원회 등 22곳, 43명의 청년이 참여한 가운데 ‘연말 청년포럼’(이하 연말포럼)을 개최했다.

연말포럼은 청년포럼에 속한 전국 장애·비장애 청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청년주도 문제해결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재활협회와 청년이 함께 수행한 개선 활동 성과발표와 함께 청년이 원하는 사회를 위한 청원서 작성의 시간으로 진행됐다.

개선 활동 성과발표 시간에는 청년 현안 해결을 위해 재활협회와 함께 개선 활동을 수행한 가톨릭대학교 인권위원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인권위원회, 충남대학교 장애인권동아리 배리어프리 등 7곳이 발표자로 나섰다.

특히 신라대학교 장애인권동아리 동그라미는 ‘인식개선’을 주제로 동화책 4종을 공유했으며, 오는 12월 7일까지 텀블벅 펀딩을 통해 동화책을 제작해 배포할 계획이다.

‘모두를 위한 M.T’를 주제로 실시한 중앙대학교 학생인권위원회는 MT의 성지인 대성리 35곳 펜션의 장애접근성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내·외부 접근성 지표가 우수한 펜션은 1개에 불과, 장애대학생의 MT 참여가 어려운 실정이다. 해당 자료집은 내년 3월 중앙대 및 중앙대 학생인권위원회 SNS에 개시될 예정이다.

청년의 시각에서 장애 현안을 바라보고 해결 방안을 자유롭게 토론하는 ‘청원’ 시간에는 최근 언론에서 장애청년을 자발적 미취업을 일컫는 니트족(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으로 바라보는 시선에 반대하며, 차별로 인한 비자발적 미취업을 겪는 장애 청년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청원서 5종을 작성했다.

니트족은 사회참여가 가능함에도 자발적 의사에 따라 미취업 하는 것이라면 장애청년은 주거, 의료, 교육, 취직 등 사회에 참여하기 위한 충분한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기에 생긴 ‘차별로 인한 비자발적 미취업’이기 때문이다.

청원서는 ▲사회참여를 위한 개인예산제도 개선 ▲장애인 정치권보장 ▲주거권리보장 등을 주제로 하고 있다.

개인예산제를 주제로 작성한 장애인권대학생네트워크 정승원 위원장은 “개인예산제의 정착을 위해서는 개인마다 편성되는 예산을 늘려야 하며, 무엇보다 청년장애인의 니즈(취업, 교육 등)에 맞게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거보장을 주제로 의견을 나눈 가톨릭대학교 인권위원회 성다빈 위원장은 “장애청년들의 사회참여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주거가 보장되어야 하며, 건축법 내 장애인 접근성 보장 명시, 장애인 임차인의 차별 권리구제를 위한 주거권리센터 창립 등 권리보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음 김남영 대표(장애인식개선강사)는 “‘사회부적응’ 등의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한 NEET라는 표현이 장애청년에게 쓰인다면 장애인식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장애청년들의 어려움은 사회구조적인 차별에서 파생된 것임을 고려해 NEET 용어 사용을 지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활협회 조성민 사무총장은 “NEET라는 표현은 사회구조적 차별로 인해 장애청년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개인의 문제로 국한시킨다”며 현재 대한민국에서 당사자에게 부정적인 의미를 주는 NEET의 ‘Not in’ 대신 사회구조적 차별로 쫓겨났다는 의미를 가진 ‘Kicked out of’를 사용한 용어 KEET(Kicked out of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를 제안했다.

또한 “연말 청년포럼은 NEET라는 표현에서 벗어나 청년의 시선에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이야기하는 시간이었다.며 ”청년이 제안한 현안들은 청년포럼 소속 단체, 장애동아리의 이름으로 각 정당 및 관계부처에 전달하고, 반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